본문 바로가기

<City Life>/Japan Tokyo

Japan Tokyo(일본 도쿄, 東京) - 넷째날 - 2. 긴자 (銀座) - 소니 쇼룸 (Sony Showroom), 주오도리 (中央通), 애플스토어 (Apple Store), 키르훼봉 긴자점 (Quil Fait Bon)

 이번에 도착한 곳은 긴자였습니다. 유라쿠쵸역에서 내렸기 때문에, 긴자 출구를 통해서 서쪽에서 동남쪽으로 이동~



 가던 중에 눈길을 끄는 해수 어항이 있어서 봤더니 그곳이 바로 소니 쇼룸 앞이었습니다. 소니의 경우, 최근에 3D 영상 기술에 주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는데, 때문에 1층에서는 진짜 해수 어항을 전시하고, 위로 올라가면 스쿠버다이빙 3D 영상 체험을 다양하게, 그리고 대규모로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3D가 좋다좋다 말만 들었지 실제로 가정에서 3D TV로 보기 시작한다면 앞으로는 2D 영상은 촌스럽게 느껴지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3D 영상은 아주 매력적이었습니다.

 그 밖에 mp3p, 예쁜 노트북, NEX 등을 만저보고, 입체 음향 효과 체험이라든가, 실시간 영상 합성 기술 등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었습니다. 기업이 사람들에게 최신 기술을 소개함으로서, 수요를 창출하고, 광고 효과를 누림과 동시에, 이렇게 관광객까지 유치할 수 있다는 점은 역시 절 또 한 번 놀라게 했습니다.

 주오도리(中央通)를 따라 쭉 가다보면 보이는 긴자의 랜드마크. 와코 백화점(和光)이 그 모습을 드러냅니다.



 길을 건너면서 촬영한 와코 백화점. 이곳은 역사성이 깊은 건물이라고 하며, 실제 내부는 거의 명품관으로 채워져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보이던 미츠코시(三越). 이곳은 대규모 공사가 진행중이었으며 본점 쪽에서는 좁은 공간을 활용해서 세일 상품을 팔고 있었습니다. 이곳에서 저렴하게 선물 거리를 살 수 있었지요.



 올라가던 중에 보였던 초콜렛티어의 샾. 일본의 초콜렛티어가 운영하는 곳은 평가가 굉장히 좋은 곳이 많았는데, 더워서 따로 찾아다니지 못했던터라 보이는 대로 들어가서 간식 삼아 저렴한 초콜렛 하나 씩 샀습니다. 저 작은 것이 가격은 엄청나지만, 과일향도 나고, 불쾌하게 끈적이지도 않고 적절하게 촉촉하면서 살살 녹는게 역시 고급 초콜렛은 다르긴 다르구나 하고 느끼게 만들더군요.



 애플 스토어에서 만져본 아이패드. 만져보니 왜 타블렛 PC가 노트북 시장을 대체할 강력한 카드인지 알겠더군요. 노트북 사면 바보라는 생각이 들 정도의 휴대성과, 편리성과 쾌적함. 그리고 디자인... 아이패드를 활용해서 윙버스, 네이버 등을 접속해 보았는데, 한국에서 접속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속도 때문에 무척 놀랐습니다.

 아이폰4도 만져볼 수 있었죠. 아이폰4 같은 경우는 이미 일본에서는 이 때도 대중화가 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실 이곳이 아니라 Muji나 길거리 폰 샵에서도 만져볼 수가 있었구요. 우리나라는 이렇게 일본에서는 다 대중화된지 3주 후, 아이폰 4 예약 판매를 시작...ㅠ



 이후 지나가면서 본 명품 거리. 다닥다닥 붙은 고급 건물들 사이에서 단연 눈에 띄던 것이 웨딩 촬영을 하고 있는 스튜디오로 보이는 건물이었습니다.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자연광은, 굳이 들어가보지 않아도 저 곳에서 찍는 사진들이 얼마나 아름답게 나올지 상상하게 했습니다.

 이후 찾아간 곳은 키르훼봉 긴자점(Quil Fait Bon)입니다. 더워서 사진을 너무 못 찍은게 한스럽네요. 무척이나 만족스러웠던 곳이었는데...



 1층은 케이크를 진열해놓고 테이크아웃 손님을 받고 있으며, 2층은 카페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주 애매한 시간에 갔음에도 웨이팅이...! 싸고 화려한 것 두 개를 시키려다가, 기왕 온거 최고가의 여름 시즌 상품을 주문했습니다. 망고만 잔뜩 덮여있는...



 망고가 비싼 과일이긴 하지만, 망고 주스와 맛이 크게 다르지 않다보니 저희로서는 아쉬움이 밀려왔죠. 망고의 신선도 자체는 아주 좋았습니다. 타르트와 빵 부분의 촉촉함과 맛은 말할 필요도 없구요. 개인적으로는 청포도가 가득 덮인 것을 먹고 싶었는데...



 일본에서 아주 자주 먹었던 gingerale. 꽤 맛있는데 왜 한국에서는 대중화가 빨리 안 되는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