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ty Life>/Informations

KT 스마트폰 사용자의 olleh Wi-Fi (네스팟:NESPOT) 사용하기!

Olleh!

제가 이 글을 올린지 얼마 되지 않아 KT의 정책이 바뀌었습니다!!

의외로 제가 원한 방향의 정책 변경이 빨리 이루어져서 기분이 좋습니다.





1. KT 스마트폰을 샀으면 당연히 KT의 olleh Wi-Fi를 쓸 수 있는거 아냐? - 사랑하는 고갱님? 등록을 하셔야 합니다.



Wi-Fi는 이런 이미지로 형상화됩니다. (이미지 출처: Show)


 스마트폰을 구입하면 당연히 자동으로 Wi-Fi가 되겠거니 하고 생각하시는 분(저 같은...)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물론 공유기를 활용한 (iptime 등...) 망은 사용이 가능하지만, 불특정 다수를 위해 비밀번호를 안 걸어두시는 자비로운 분들이 많지 않다는게 문제입니다.(저도 자비로운 사람은 아닙니다만 ^^;) 대학교 내 Wi-Fi망도 학교 인트라넷 아이디를 통해 등록을 거치면 사용이 가능하다든가 하는 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통신사에서 여기저기 깔아둔 Wi-Fi망이 필요하게 됩니다. 특히 원래 무선 인터넷을 위해 출범했던 서비스인 NESPOT의 경우는 KT에서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함께 자사 Wi-Fi 가능한 핸드폰에게 네스팟(NESPOT) 망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큰 혜택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2010년 네스팟이라는 이름을 버리고 olleh Wi-Fi라고 부르고 자신의 그 넓은 Wi-Fi 존에 대해 홍보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돈이 우선인 기업에서는 당연히 이러한 무선 인터넷망은 경쟁의 도구가 되기 때문에 타사 이용자에게는 개방하지 않습니다.

 최근 SKT에서는 KT에게 공공재 드립을 치면서 Wi-Fi망을 공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Wi-Fi 망이라는게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보급량에서 경쟁이 안되기 때문에 이런 선택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만 돈의 논리로 돌아가는 기업에게는 약간은 무리수였지요. 하지만 SKT는 자신들의 주장이 정당성을 갖기 위해 자사 Wi-Fi망을 모두에게 공개하여(!) 다른 KT나 LGU 사용자도 본인 인증만 하면 얼마든지 인터넷을 사용하게 만들었습니다. 비록 Wi-Fi 망이 KT NESPOT만큼 많지는 않지만 우리 같은 일반 사용자에게는 뜻밖의 혜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아 이게 주제가 아닌데...


어찌됬든 현재 가장 넓은 WI-Fi 존을 가지고 있는 olleh Wi-Fi입니다. 이게 alleh인지 olleh인지 글씨체가 -_-;; (이미지 출처: Show)


 하지만 같은 KT기는 해도, 핸드폰 서비스인 Show(http://www.show.co.kr/)와 인터넷 서비스인 Qook(http://www.qook.co.kr/)이 완전한 통합이 되어 있는 상황이 아니라서, 단순히 KT 스마트폰을 구입한다고 바로 모든 olleh Wi-Fi망이 자사 스마트폰에게 개방되는 것은 아닙니다. 일정한 등록 절차를 걸쳐야만 구입한 KT 폰을 활용해서 여러 olleh Wi-Fi 망에 접속할 수가 있게 됩니다. 즉 olleh Wi-Fi로 하여금 이 기기가 KT를 기기라고 등록을 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작업인데, 이것을 사용자가 직접 해야하는 불편함이 남아있는 것이죠. 상식적으로 당연히 그건 회사가 알아서 해 주어야 할 일인 것처럼 보이지만, 현실적으로는 다른 문제가 아직 남아있는 듯 합니다. 즉 폰 개통을 하는 것은 본사의 손이 뻗치는 곳이 아니라 개개의 폰 판매 매장에서 담당을 하고 있는데, 이 매장들은 자신들의 잇속을 채우는 일에만 관심이 있지, 고객들을 위해 기기를 olleh Wi-Fi 사용을 할 수 있게 등록을 해주는 일에는 관심이 없다는 것이죠. 언젠가 기기에 대한 이동통신사의 관리와 통제 등을 통해 해결은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만...

 어찌됬든 구입한 소중한 핸드폰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 등록을 시켜 봅시다.



2. 가입은 어떻게 해야돼?

 다행인 점은 Show 고객은 자동으로 Qook 아이디가 발급이 됩니다. 따라서 일단 Qook - Wi-Fi(http://wifi.qook.co.kr/)로 들어가봅시다. 자신의 ID는 114에 물어봐도 알려주겠지만 일단 상단의 로그인을 누르고 아이디 찾기를 해봅시다.

 아이디 찾기가 되면 접속 아이디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가 전부 보여지지는 않겠지만 이 아이디의 형태가 일정하기 때문에 알아낼 수 있습니다. 일단 맨 앞의 알파벳은 임의로 주어집니다. 이후 010을 제외한 자신의 핸드폰 번호가 아이디가 됩니다.(예: 010-1234-5678을 쓰는 사람의 아이디: KT12345678, 혹은 m12345678 등등) 그리고 비밀번호는 자신의 주민등록번호 뒷 자리 7숫자가 됩니다. 여기서 기존의 Qook 아이디가 있던 분은 기존 아이디가 접속 아이디를 포함하게 만들 수도 있으니 해보시구요.

 로그인이 되면 사진 처럼 우측에 MAC/ID 등록이라는 칸이 보이실 겁니다.

우측에 보이는 MAC/ID 등록란. (이미지 출처: Show)



 이후에는 다음과 같은 그림이 뜨는데, 붉은 버튼인 'MAC/ID 등록하기'를 누릅니다.

붉은 버튼인 'MAC/ID 등록하기'를 누릅니다. (이미지 출처: Show)


 클릭하면 창이 하나 뜨는데, MAC 주소를 입력하는 칸이 보이실 겁니다. 이번엔 핸드폰에서 MAC 주소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iPhone은 홈페이지에서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지만 다른 폰의 경우에는 각자 방법을 찾아보셔야 합니다. 일반적인 안드로이드 폰에서는 메인 화면 - 메뉴 버튼 -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상태에 들어가면 됩니다. Wi-Fi MAC 주소가 숫자와 알파벳의 조합으로 12글자가 있을겁니다. 이것을 홈페이지에 등록하시고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돈내고 사용하는 기기인데, 제공되는 서비스는 모두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복잡하고 번거로운 절차를 만들지 않는 서비스를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우리 나라 전체가 Wi-Fi 존이 되고 통신사에 따른 차별 없이 모두가 무선 인터넷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그런 날이 왔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