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ty Life>/Informations

RSS! 무슨 뜻이고, 활용법은?

 블로그 하는 사람 치고 RSS라는 말을 안 들어본 사람은 없을 겁니다. 하지만 저 처럼 그냥 새로운 기술이려니 하고 무관심했던 사람도 있으실테고, 무슨 뜻인지 알아내서 활용하시는 분도 분명히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RSS의 의미를 파악하고 활용하면, web 2.0 출범과 함께 급격하게 변화한, 그리고 변화 중인 인터넷 세상을 편하게 둘러볼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자신의 전문분야가 아니라면 새로운 용어가 난무하는 다른 분야의 언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저 또한 이 분야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는 수준이기는 하지만, 나름대로 검색한 지식을 모으고 모아서 제가 이해하고 있는 범위 내에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틀린 부분에 대한 수정 적극 환영합니다.


1. 대체 RSS가 무슨 뜻인지?

Feed-icon.svg

 Wikipedia(http://en.wikipedia.org/wiki/)에서는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습니다.

 '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약자로 자주 업데이트 되는 블로그, 뉴스 헤드라인, 오디오나 비디오에서 사용되는 표준화 된 web feed formet이다.'

 최근의 인터넷 세상의 변화는 web 2.0의 개념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과거의 소수가 다수에게 일방적으로 소통하던 단순 홈페이지의 개념과 달리, 다수의 사람이 참여하고 컨텐츠를 만들고 공유하는 것으로의 변화라고 합니다. 이런 변화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블로그이고,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던 개인은 이제 정보의 생산자가 되었지요.

 개개인이 자신의 블로그를 갖고 자신의 공간에서 정보를 생산하게 되면, 이런 정보에 접근하기가 무척 귀찮게 됩니다. 그 수 많은 블로그, 혹은 뉴스 홈페이지 등을 즐겨찾기를 해놓고 주기적으로 일일히 들어가보면서 새 글이 업데이트 되었는지 확인을 해야 하는 것이죠.

 이 까다로운 작업을 컴퓨터가 대신하기를 개발자들은 원했을 겁니다. 하지만 개인, 즉 정보 제공자들은 각자 자기 개성을 살린 홈페이지에서 자기만의 스타일로 글을 작성하고, 컨텐츠를 생산했습니다. 컴퓨터가 아무리 똑똑해도 그 수 많은, 다양한 홈페이지, 블로그의 새로운 글 업데이트를 알아내고 검출해 내기란 정말 어려울 것입니다. 만약 그것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차라리 '이제부터 글 쓰고 컨텐츠를 만들 때는 우리가 규격화 한 형태로 작성해라' 하고 명령하는게 빠르겠죠.

 이렇게 해서 생겨난 것이 바로 RSS라는 규격입니다. 이 규격을 사용하는 홈페이지, 블로그에서는 글을 작성할 때 RSS 규격의 폼으로도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2. 활용은?

 당장 제 블로그에서 왼쪽에 있는 작은 RSS 마크를 클릭해 보세요. 그럼 형편없는 디자인의 블로그 요약 모음집 같은 모습이 뜰 것입니다. 이것이 RSS 규격으로 제 블로그를 보여주는 모습입니다. 이런 단순화 된 모습 덕분에, 그 어떤 다양한 디자인의 홈페이지나 블로그의 글이라고 해도 컴퓨터가 자동으로 뽑아와서 모아놓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자동으로 뽑아와서 보여주는 녀석을 리더(reader)라고 합니다. 이제는 왜 RSS를 feed formet이라고 하는 지도 자동으로 이해할 수 있겠지요. 먹여주는(feed) 규격이 있으니 읽을(read) 수도 있고~ 어떤 곳에서는 이런 리더를 활용해서 새로운 글을 모아 보는 것을 '구독'한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알기 쉽게 싸이월드에 비유하자면 '업데이트된 일촌'과도 비슷한 느낌인 것이죠.

 이 리더는 RSS reader, feed reader, aggreator라고도 부릅니다. 리더는 다시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인터넷 웹에 기반하고 있어서 해당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형식이 있고, 컴퓨터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식이 있고, 모바일 기기의 발전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웹 기반 형식은 RSS reader 서비스를 하는 해당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자신이 등록한(싸이에 비유하자만 일촌) 홈페이지 혹은 블로그의 업데이트된 최신 컨텐츠를 자기 집 컴퓨터 뿐만이 아닌, 인터넷이 가능한 어디서든 접할 수 있습니다. 대신 해당 홈페이지에 회원 가입을 해야 한다거나, 로그인을 해서 확인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요. 이런 방식의 변형으로는 친구 등록을 통한 최신 글 확인 방식 중에서도 RSS reader 기능이 있는 블로그 서비스도 있더군요. 저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어디서 웹 기반 RSS 리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는 검색을 통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설치 사용 방식은 비록 RSS reader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만 이용할 수 있지만 대신에 회원 가입을 할 필요도 없고 로그인도 할 필요가 없이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만으로 간단하게 최신 컨텐츠를 접할 수 있습니다. 대신에 설치되지 않은 다른 컴퓨터에서는 이용할 수 없거나 자신이 등록한 목록은 구경할 수 없게 되겠지요.

 각각은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취향에 따라, 형편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3. Internet Explorer 7.0 이상 버전에서 RSS reader를 지원!

 Internet Explorer의 여러 기능 통합과 독점에 대해 불만의 소리가 있지만 RSS reader 기능이 포함된 것은 회원 가입을 꺼리고 로그인이 귀찮은 제게는 참 기분 좋은 일입니다.



 마침 검색중이던 Wikipedia도 RSS feed를 지원하네요. 상단의 작은 아이콘 중에 RSS feed 아이콘이 주황색으로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익스플로러가 검색해서 해당 사이트가 RSS feed를 지원하면 자동으로 활성화됩니다. 덕분에 블로그마다 다른 위치에 있는 RSS feed 위치를 찾을 필요도 없지요. 물론 주소로 RSS reader에 추가하는 방법도 있긴 하지만요.



 다시 조악해 보이는 RSS 화면이 나왔습니다. 창 내부의 상단에 보면 피드에 가입하는 항목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특별한 가입 절차 없이도 익스플로러를 통해 쉽게 RSS 정보를 얻어서 새롭게 업데이트 된 이웃의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방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글이 있는 경우 위의 모습 처럼 굵은 글씨로 나오게 됩니다. 오늘도 몇 군데 들려야겠네요.